아시아골드 금.은 투자 블로그

최근 금시세정보를 알아봅시다. 본문

금·은투자정보

최근 금시세정보를 알아봅시다.

아시아골드 2016. 11. 25. 12:19

최근 금시세정보를 알아봅시다.

 

 

 

 

안녕하세요. '금군' 입니다.

연일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 국제 금시세입니다.

 

FOMC 정례회의를 앞두고 미국 금리인상 가능성이 점점 높아지면서 달러는 강세를 보였는데요.

 

앞으로의 금시세정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국제 금값의 경우 9개월 반래 최저치까지 내려왔습니다.

이는 미국의 12월 금리인상 전망에 달러가 강세를 보이고,

금 최대 시장 중 하나인 인도에서 수요가 줄어들 것이란 추측 역시 금값을 끌어내렸습니다.

 

 

 

 

 

금값은 지난 23일 2% 가까이 하락하면서 안전선이였던 1,200달러가 붕괴되었습니다.

 

장중에는 1,180.99달러까지 내리면서 2월 8일 이후 최저치를 찍었습니다.

 

 

인도 정부가 반부패 캠페인 과정에서 금 수입을 줄일 것이라는 소문이 돌면서

추가 매도물이 출회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인도는 중국과 함께 금 최대 시장에 속해있습니다.

 

 

 

 

 

 

 

 

 

 

12월 미국의 금리인상 전망에 따른 강세에도 금값을 압박했습니다.

 

23일 공개되었던 미국 연방준비의원회의 11월 정혜회의 의사록에서 정책위원들은 경제 지표가 뒷받침 되다면

비교적 이른 시일 내로 금리인상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한 것으로 확인되며,

소비 심리와 제조업 지표가 호조를 나타내면서 12월 금리인상 전망은 더욱 굳어지고 있습니다.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은 현재 12월 금리인상 가능성을 93.5%로 높게 반영하며,

사실상 내달 금리인상을 기정사실화 하고 있습니다.

 

 

이에 투자전략가들은 "단기적으로 다러가 강세를 보이는 한 귀금속 가격은 회복되기 어려울 것" 이라고 진단했는데요.

국제 금시세가 온스당 1,000달러까지 내려가도 놀랍지 않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올해 초부터 금값이 지속적으로 올랐으나 하방 저항은 그대로 유지될 것이라고 설명했으며,

향후 지지선은 온스당 1,050~1,000달러가 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물론 반대의 의견의 전문가들도 많습니다.

 

 

 

현재 트럼프 당선 후 예상밖으로 금값이 연일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데요.

이는 금값폭등의 전조현상으로 보고 있는 전문가들도 많습니다.

 

 

 

 

 

현재까지도 트럼프 정책 불확실성이 남아있기에 더욱 그런데요.

일단 가장 빠른 시일로 찾아오는 FOMC 정례회의를 지켜봐야겠습니다.

 

 

 

현저히 낮은 최저시세의 '금'

보다 효율적이고 믿을 수 있는 실물 투자 전문 기업 '아시아골드'

 

금시세와 은시세 모두 내렸으니, 금투자와 은투자 관련 정보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아시아골드 -

http://www.asiagol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