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골드 금.은 투자 블로그

상승한 국제금시세 소식 그리고 전망 전해드립니다. 본문

금·은투자정보

상승한 국제금시세 소식 그리고 전망 전해드립니다.

아시아골드 2016. 12. 5. 11:06

상승한 국제금시세 소식 전해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금군' 입니다.

오늘 소폭 상승한 국제금시세 소식 전해드리겠습니다.

 

 

 

 

금값이 2일(현지시간)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미국 달러와 국채 금리가 하락하면서 금 시장 환경이 완화되었는데요.

 

미국 고용지표가 견고해 당장의 금리 인상 가능성이 높아졌지만,

금 시장은 이 소식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은 모습이였습니다.

 

 

 

 

 

 

 

 

 

 

 

애널리스트들은 금 시장이 이미 금리 인상 가능성을 가격에 반영했기 때문이라고 밝혔으며,

금 시장은 그래서 미국의 시간당 임금이 감소세로 돌아섰다는 소식에 더 주목했습니다.

 

연방준비제도의 긴축이 강하게 전개될 가능성을 낮춰주었기 때문입니다.

 

 

 

 

 

 

 

 

 

 

뉴욕상품거래소에서 금 선물 2월물은 0.7% 오른 온스당 1177.80달러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지난달 미국 실업률이 9년 만에 최저치로 떨어졌는데요.

 

11월 비농업 부문 신규 고용은 17만 8000명을 기록하며 시장 예상을 웃돌았습니다.

적극적 금리 인상을 주장하는 매파적 인사들의 입김이 강해지게 되었다는군요.

 

 

 

 

 

 

 

 

 

 

 

하지만 나티시스의 버다드 다다 귀금속 전문 애널리스트는 "이 지표는 금 시장에는 이벤트가 아니었다.

금 시장은 여전히 12월 금리 인상 가능성을 매우 높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미 시장에 반영됐다. 이것이 오늘 국제금시세가 움직이지 않은 이유다" 라고 밝혔습니다.

 

 

 

 

 

 

 

국제금시세의 체결 당시 미국 국채 수익률과 달러화 가치는 하락했습니다.

 

미국 국채 10년물 수익률(미국 국채 가격과 반대)은 7bp(1bp=0.01%p) 내린 2.38%를 나타냈습니다.

미국의 11월 임금 증가율이 하락세로 돌아서면서 인플레이션 압력 우려가 줄어든 영향입니다.

 

금은 이자가 붙지 않는 자산이기 때문에 금리와 반대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죠.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화의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0.3% 내린 100.77을 기록했습니다.

달러가 약세일 경우 달러를 사용하지 않는 국가들의 금 구매 가격 부담이 낮아지기 때문에 금 수요가 확대됩니다.

 

 

은 선물 3월물은 2% 상승한 온스당 16.832달러로 체결되었으며, 백금 선물 1월물은 2.4% 상승한 온스당 932.70달러를 기록했습니다.

 

국제금시세는 단기적으로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에 지난달에만 8% 이상 떨어졌습니다.

이달 Fed가 금리를 인상할 것이라는 예상이 힘을 얻으면서입니다.

 

 

 

 

 

 

최근 싱가포르 화교은행(OCBC)은 연말 금값 전망치를 기존 온스당 1300달러에서 1200달러로 낮추기도 했습니다. ​

 

OCBC는 만약 Fed가 내년에 금리를 두 차례 더 올린다면

금값은 내년 연말까지 온스당 1100달러 수준으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앞으로 국제금시세는 어떤 흐름을 보여줄까요??

 

당장 오는 4일(현지시간) 이탈리아에서 벌어지는 개헌 국민투표가

금값에 또 하나의 분수령이 될 수 있다고 합니다.

 

 

전문가들 "투표가 부결된다면 불확실성이 확대되면서

금값을 지지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 이라고 전망했습니다.

 

 

 

 

다양한 실물투자 소식은 : http://blog.naver.com/ghkfkdgusah

 

 

실물 투자 전문 기업 '아시아골드'

http://www.asiagol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