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골드 금.은 투자 블로그
오늘금시세 강세를 이어갈수 있는 이유와 전망 본문
오늘금시세 강세를 이어갈수 있는 이유와 전망.
안녕하세요. '금군' 입니다.
현재 '금' 이 안전자산으로 각광받던 시기가 지났다는 진단이 나오고 있습니다.
시장 변동성은 여전히 높지만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자의 재정부양과 감세 정책,
인프라스트럭처 투자 등으로 인해 미국 경제성장에 대한 기대가 높아졌기 때문입니다.
오늘의금시세가 온스당 1132.40달러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음에도 이러한 진단이 나오는 것은
아무래도 금값을 더 끌어내기리 위함으로 보여집니다.
현재 실시간 오늘금시세는 온스당 9달러나 상승하면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내년 1월 20일 트럼프의 제 45대 미국대통령 취임이 예정된 가운데
금값이 다음 달부터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고 합니다.
26일 자 미국 투자매체 배런스는 금은 지난 4분기에 올해 상승분을 거의 반납했다며 이와 같이 보도했는데요.
현재 금 현물은 연초대비 6.8% 나 오른 온스당 1133.30달러에 거래중입니다.
지난 7월만 해도 연초대비 25% 오른 1350달러였으나 상승폭이 쑥! 내려간 셈이죠.
달러 가치가 14년래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강세를 보이는 것도 금값에 부담이 될 전망입니다.
금값은 달러로 표시되기 때문에, 달러 강세가 나타나면 금값도 상승하는 효과가 금 수요가 줄어들게 됩니다.
주요 금 소비국인 인도도 금값 하락에 영향을 미쳤다는 진단도 있습니다.
인도는 세계에서 두 번째로 금 수입량이 많은 나라입니다.
미국 대선이 치러진 지난달 8일 인도에서는 지하 경제를 척결한다는 취지의 화페개혁안이 전격 발표되었는데요.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고액권인 500루피와 1000루피 지폐의 사용을 금지하고
새 화폐로 교체하기로 했습니다.
이는 인도 국내총생산(GDP)의 20%로 추정되는 지하경제를 양성화하려는 의도로 풀이됩니다.
그러나 화폐개혁으로 인도에서 소비가 위축되면서 금 거래도 타격을 입고 있습니다.
이 밖에도 인도 정부가 금 수입량을 줄이기 위해 2013년까지 세 차례에 걸쳐 금 수입 관세를 높이면서,
올 상반기 인도의 금 수입량은 감소했습니다.
오늘의금시세가 추세적으로 반등하기 위해서는 국채금리 상승폭이 되돌려지거나
달러 강세가 진정돼야 하는데 트럼프의 정책불확실성으로 인한 가능성이 보여지고 있으나
급격한 변화가 나타날 가능성은 낮게 진단되고 있습니다.
또다른 금값상승의 이벤트로
영국의 EU 탈퇴에 이어 다른 EU회원국의 탈퇴 움직임도 주목되고 있습니다.
헌법개정 국민투표를 부결시킨 이탈리아와 네덜란드의 우익정당들은 EU 탈퇴 목소리를 높이고 있는데요.
네덜란드의 우익정당인 자유당의 헤이르트 빌더르스 대표는
"내년 3월 총선에서 승리하면 영국처럼 EU 탈퇴 여부를 묻는 국민투표를 실시하겠다고" 공약한 바 있습니다.
영국의 EU 연합 탈퇴 이후 오늘의금시세가 약 26% 상승한 바 있기 때문에 더욱 주목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국내 시세소식과 세계 경제 동향은?? : http://blog.naver.com/ghkfkdgusah
편리한 시세확인과 투자상품 구매는 '아시아골드' 앱에서 가능합니다:)
'금·은투자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시세전망 4일 연속 국제금값 상승하고 있다. (0) | 2016.12.29 |
---|---|
오늘의금값시세 서서히 상승하고 있다!! (0) | 2016.12.28 |
인도의 화폐개혁, 국제금값 전망에 영향준다. (0) | 2016.12.26 |
오늘의금시세 달러가치와 동반 하락. (0) | 2016.12.22 |
요즘금시세 예측이 어렵죠?? 금값전망 알아봅시다. (0) | 2016.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