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골드 금.은 투자 블로그
오늘 은시세로 알아보는 은팔때 은매입가 본문
안녕하세요.
금 정보와 은정보 시세를 알려드리는 금군입니다.
어느덧 2023년도 8월의 두 번째 날입니다.
최근 전 세계는 지구 온난화로 폭염과 태풍 등
이상 기온이 발생하면서 많은 사상자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지구 평균 기온이 17도를 넘어 지난 2016년 역대 1위
였던 16.8도를 넘어섰다고 합니다.
또한 현재 남극의 해빙 규모는 지난해 기록한 역대
최소치보다 160만㎢ 정도 적은 상태이고, 이는
약 축구장 2억 5000만개 넓이의 빙하가 사라진 것
이라고 합니다.
참 상상 할수 없는 어마어마한 양입니다.
우리나라도 최근 엄청난 양의 비로 인해 인명피해가
많이 있었는데요.
빨리 지구가 안정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오늘 은 가격은 달러화 강세의 모습이 보이자 상승분에 대한
이익 실현 매물에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최근 7월 한 달간 금시세는 2% 상승하였습니다.
미국의 경제지표 중 이번 주에 나오는 6월 비농업 고용보고서도
탄탄한 흐름으로 이어갈 것으로 예상되면서 달러는
3주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또한 최근 미 연준 고위 간부들의 매파적인 발언이
달러화 강세를 뒷받침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뉴욕증시가 강세를 이어가고 있는 만큼 헷지 수단으로써
금의 매력도 커지고 있어서 당분간 금 가격 상승은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고 보이고 있습니다.
'오늘 은시세로 알아보는 은팔때 은매입가'
라는 주제로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현재 포스팅하는 시간 기준 국제 은시세는
24.2 선으로 지난달 말 24.8 선을 찍고 소폭 하락세의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국제시세의 은을 재는 단위는 온스 단위로 계산하고
있는데요. 더 정확히 이야기하면 귀금속의 단위를
말하는 트로이온스라고 합니다.
1 트로이온스는 31.1034768g입니다.
우리나라의 금 은을 재는 단위인 3.75g과
꽤 큰 차이가 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국제 시세는 세계적인 귀금속 전문 사이트인 킷코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확인해 보면 국제시세가 현재 24.145인 것을 알 수
있는데요. 달러를 원화로 계산해 보면
24.145 달러는 3만 1,159.12원 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음?
그럼 우리나라에서 사용되는 단위인 돈으로는
어떻게 계산을 해야 할까요?
좀 더 정확한 시세를 알기 위해서는 환율까지 알아야 합니다.
그렇게 만들어진 국내 시세를 확인하는 계산법은
오늘 국제 은시세 ÷ 1트로이온스 × 오늘 환율 × 1돈
다시 오늘 시세로 풀이를 하자면
24.145(국제 은시세) ÷ 31.1035(1트로이온스) × 1,290.50원
x 3.75g(1돈) = 3,756.70613837671이라는 숫자가 나옵니다.
뒤에 소수점을 제거하면 3,756원이란 걸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끝이 아닙니다.
위에 숫자는 순수한 은값이라고 생각하시면 되는데요.
여기에 추가되는 관세, 부가세, 업체 마진 등이 붙게 돼서
최종적으로 금거래소에 고지되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에서 은시세가 정해지는 이유 중 하나는
바로 은 재고량인데요.
국내에서도 은을 얼마나 사고 파는지에 따라서도
은값이 바뀌게 됩니다.
국제 시세와 국내시세의 다른 점은 바로 시세 변동입니다.
국제시세의 경우 매초마다 시세가 변동하지만
국내의 경우 매초마다 귀금속 제품을 가격을 다시
책정할 수 없기 때문에 평일 오전에 은시세가
나오면 그때 여러 금제품 상품들의 가격이 책정되는데요.
그렇게 다음날까지 같은 가격으로 가게 됩니다.
하지만 국내 시세의 경우 하루종일 같은 가격에
지속되지만 간혹 국제 시세가 폭락 또는 폭등할 때
국내 시세 또한 변동을 주고 있습니다.
여기서 한 가지 팁이 나옵니다.
만약 국제 시세가 폭등하고 있고.
국제 시세가 아직 시세 변동이 되기 전이라면 이럴 때
은매입을 하기에 참 좋은 타이밍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오늘 은시세로 알아보는 은팔때 은매입가'
라는 주제로 포스팅했는데요~ 다음에는 더 좋은 정보로
돌아오겠습니다. 블로그 이웃 추가해 주시면 금 은 소식을
좀 더 빨리 접하실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